끊임없는 상처 속에서도 끊임없는 성장의 길을 가다-세월호 가족 동수 아빠 인터뷰
김 우
4.16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이하 가협) 진상규명부서장인 동수 아빠는 간담회와 책 편찬 준비로 한창 바빴다. 간담회는 ‘4.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의 의미와 향후 과제’를 사참위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짚는 전국 순회 간담회였다. 책 편찬은 세월호참사 이후 4.16운동이 걸어온 길 10년을 담는 작업이었다. 4.16재단에서 지원 나온 이들과 같이 초고를 완성했는데 그간의 세월이 짧지 않은 만큼 분량은 500페이지를 훌쩍 넘어섰다. 가협의 의견 물어 반영하며 수정 과정을 거치면 7~8월에 시민들에게 배포할 수 있을 듯했다. 관련 재판이며 특조위(4.16세월호참사특별조사위원회), 국민조사위(4.16세월호참사국민조사위원회), 선조위(세월호선체조사위원회), 사참위(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 활동 과정을 책에 담으며 ‘이땐 이랬지’하는 여러 생각이 피어올랐다. 잘했다 싶은 것도 있고 아쉬움이 큰 것도 많았다. 세월호 인양과 선체 직립은 잘한 일로 떠올려지고, 1기 특조위 시행령 관련해선 조금 더 싸웠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 식이다.
예전에 동수 아빠의 설명을 들으며 인양한 세월호 안을 둘러본 기억이 났다. “세월호라는 배에 들어가는 일도 쉽지 않으실 텐데 시민들에게 설명까지 하셨죠.” “힘든 부분이지만 반면에 알릴 기회니까요. 의무감이 있어요.” 의무감. 떠난 아이들을 헛된 희생자로 만들지 않도록 남은 자의 몫을 하려는 꿋꿋한 의무감으로 버텨온 시간. 동수 아빠는 올해 진상규명부서장 4년 차다. 인양 후 인양분과가 진상규명부서로 통합되기 전에는 인양분과장을 맡았었다. 내년이면 부서장 임기가 끝난다. 추진 중인 걸 이어가기 위해 계속 맡는 게 나을지, 몸 상태를 생각해서 잠시 쉬는 게 좋을지 고민 중이다.
“계속 아프시고, 많이 아프시고 그래요.” 동수 아빠도 아프지만 비단 동수 아빠의 문제만은 아니라는 말이다. 난 시간이 흐를수록 가족들의 상처가 조금씩 아물어 가지 않을까 생각했었다. 그런데 웬걸 가면 갈수록 더하다는 말이었다. “좋아지는 사람보다 더 안 좋아지는 사람들이 많아요. 그게 쉽게 뜻대로 되지 않아요.” “시간이 흐를수록 되는 게 없으니까. 심적으로 그런 부분들이 심해지는 거죠. 조바심이 나고, 사람 만나는 게 힘들어져요.” ‘어느 순간에 와버리는’ 공황장애. 이대로 세월호참사가 잊히지 않도록 사람들 앞에서 이야기하고 또 하며 진상규명과 안전 사회를 위한 활동을 해야 하는데, 사람을 만나는 게 어려워지는 상황과 맞닥뜨리는 아이러니라니. “한 번의 희생에 그치지 않고 상처를 계속 받아야 하는 거. 그래서 아프실 수밖에 없는 거 같아요.” 안 아픈 사람이 없다시피 한, 가협 부모들의 건강 관련 동수 아빠가 내리는 진단이었다. |
세월호참사 10주기를 그냥 넘어갈 수 없는 사람들 선포식 후기
기억다짐 SNS 프로필 바꾸기
세월호참사 10년이 되었지만 끝까지 함께 하겠다는 약속을 4월 한 달간 메신저 프로필로 표현해주세요!
세월호참사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안전사회 건설을 위해 함께 했던 모두의 마음을 다시 모아주실 것을 호소합니다.
👉 개인 1만원 이상, 단체 및 사업자 5만원 이상 후원시 10주기 위원으로 가입
👉 무통장입금 : 기업은행 409-107078-01-059 (사)4.16세월호잠사가족협의회 (※2024년부터 카드결제페이지 오픈)
👉 기부금영수증 발급 가능 (입금 후 문의, 031-482-0416)
• 납부해주신 후원금은 4.16세월호참사 10주기위원회 주요 사업(10주기 추모문화제, 4,160인 시민합창, 세월호참사 10년 기억수집 캠페인 등)에 사용됩니다.
4.16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이하 가협) 진상규명부서장인 동수 아빠는 간담회와 책 편찬 준비로 한창 바빴다. 간담회는 ‘4.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의 의미와 향후 과제’를 사참위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짚는 전국 순회 간담회였다. 책 편찬은 세월호참사 이후 4.16운동이 걸어온 길 10년을 담는 작업이었다. 4.16재단에서 지원 나온 이들과 같이 초고를 완성했는데 그간의 세월이 짧지 않은 만큼 분량은 500페이지를 훌쩍 넘어섰다. 가협의 의견 물어 반영하며 수정 과정을 거치면 7~8월에 시민들에게 배포할 수 있을 듯했다.
관련 재판이며 특조위(4.16세월호참사특별조사위원회), 국민조사위(4.16세월호참사국민조사위원회), 선조위(세월호선체조사위원회), 사참위(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 활동 과정을 책에 담으며 ‘이땐 이랬지’하는 여러 생각이 피어올랐다. 잘했다 싶은 것도 있고 아쉬움이 큰 것도 많았다. 세월호 인양과 선체 직립은 잘한 일로 떠올려지고, 1기 특조위 시행령 관련해선 조금 더 싸웠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 식이다.
예전에 동수 아빠의 설명을 들으며 인양한 세월호 안을 둘러본 기억이 났다.
“세월호라는 배에 들어가는 일도 쉽지 않으실 텐데 시민들에게 설명까지 하셨죠.”
“힘든 부분이지만 반면에 알릴 기회니까요. 의무감이 있어요.”
의무감. 떠난 아이들을 헛된 희생자로 만들지 않도록 남은 자의 몫을 하려는 꿋꿋한 의무감으로 버텨온 시간. 동수 아빠는 올해 진상규명부서장 4년 차다. 인양 후 인양분과가 진상규명부서로 통합되기 전에는 인양분과장을 맡았었다. 내년이면 부서장 임기가 끝난다. 추진 중인 걸 이어가기 위해 계속 맡는 게 나을지, 몸 상태를 생각해서 잠시 쉬는 게 좋을지 고민 중이다.
“계속 아프시고, 많이 아프시고 그래요.”
동수 아빠도 아프지만 비단 동수 아빠의 문제만은 아니라는 말이다. 난 시간이 흐를수록 가족들의 상처가 조금씩 아물어 가지 않을까 생각했었다. 그런데 웬걸 가면 갈수록 더하다는 말이었다.
“좋아지는 사람보다 더 안 좋아지는 사람들이 많아요. 그게 쉽게 뜻대로 되지 않아요.”
“시간이 흐를수록 되는 게 없으니까. 심적으로 그런 부분들이 심해지는 거죠. 조바심이 나고, 사람 만나는 게 힘들어져요.”
‘어느 순간에 와버리는’ 공황장애. 이대로 세월호참사가 잊히지 않도록 사람들 앞에서 이야기하고 또 하며 진상규명과 안전 사회를 위한 활동을 해야 하는데, 사람을 만나는 게 어려워지는 상황과 맞닥뜨리는 아이러니라니.
“한 번의 희생에 그치지 않고 상처를 계속 받아야 하는 거. 그래서 아프실 수밖에 없는 거 같아요.”
안 아픈 사람이 없다시피 한, 가협 부모들의 건강 관련 동수 아빠가 내리는 진단이었다.
열 번째 봄을 기억하는 촛불문화제&
세월호참사 10주기를 그냥 넘어갈 수 없는 사람들 선포식 후기
- 배훈
세월호참사 추모는 방해하는 자들과의 싸움이었다
3월 22일 촛불문화제 행사를 준비하기 위해 세월호 기억공간에 자원 봉사자들과 모였다.
그런데 문화제를 위한 행사 장비가 도착하기도 전에 우리를 먼저 맞이한 것은 서울시의회 직원들이었다. 그들은 기억공간이 점유한 땅 가격이 평당 얼마이고 이게 다 국민 세금이라며 기억공간을 외곽으로 옮기는 게 합리적이지 않냐며 신경을 긁었다.
그동안 세금을 성실히 내며 열심히 살아왔고, 세월호참사와 같은 불행이 그 누구에게도 찾아오지 않도록 알리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을 뿐인데 세금 운운하는 이야기를 듣는 게 불쾌했지만, 그래도 마음을 다잡고 문화제를 준비했다.
세월호참사 10주기를 그냥 넘어갈 수 없는 사람들
어려움을 뚫고 오후 6시부터 세월호 기억공간을 지키기 위한 1인 시위를 시작했다. 서울시의회 앞 인도에 일렬로 서서 10주기를 추모하고 기억공간을 지켜달라는 피켓을 들었다. 비가 오는 와중에도 꽤 많은 분이 모여 1인 시위에 동참해주셨다. 대략 60여 명이 모였고 100여 미터 행렬의 1인 시위 길이가 만들어졌다.
이후 오후 7시 촛불문화제가 시작되었다.
여는 발언으로 <세월호참사 10주기를 그냥 넘어갈 수 없는 사람들> 박주희 운영위원장의 발언이 있었다. 박주희 운영위원장은 "우리는 다시 촛불을 들 수밖에 없었다. 국가권력과 정치인들이 세월호참사를 왜곡하고 지우려고 하기 때문이다. 정의를 지우고 왜곡하는 퇴행에 맞서 우리는 지워지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한 치도 물러섬 없이 정의롭게 촛불을 지켜 낼 것이다. 그것은 10년 전 그날 함께하겠다는 약속을 끝끝내 지켜가겠노라는 다짐이다."라며 "세월호참사의 진실이 인양될 때까지 끝까지 함께 할 것"을 약속했다.
이어 416세월호 가족 협의회 강지은 회원조직부서장의 유가족 발언이 있었다. 발언 중 "10년 동안 허송세월하였다. 10년 동안 삶이 도둑맞았다." 라는 말이 가슴이 아팠다.
과연 세월호 유가족들의 10년의 삶을 빼앗아 간 자들은 누구일까? 왜 구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느냐는 너무나도 간단하고 명백한 질문에 침묵으로 일관하고, 진상규명을 해달라는 요구를 “10년 동안” 줄기차게 거부하고 막아선 그 자들은 누구일까? 수많은 약속을 했던 ‘정치인들’, 그들은 끝내 그 약속을 저버렸다. 그래서 유가족들은 10년의 삶을 부정당하고 빼앗길 수밖에 없었다.
세월호 유가족들의 곁에 서서 함께 하기 위해, 세월호참사를 기억하고 행동하며 지역에서 세월호참사 10주기의 의미와 과제를 알려 나가고 10주기에 함께할 시민을 모으겠다고 다짐했다.
마지막으로 참가자들이 준비된 용지에 자신의 다짐을 적어 세월호 리본에 붙이는 시간을 가졌다.
이메일 : 416network@416act.net
전화 : 02-2285-0416
팩스 : 02-722-0416
후원계좌 : 우리은행 1005-302-703452 (4월16일약속국민연대)
수신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