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참사 3천일을 맞아
4.16세월호참가 작가기록단 박희정
세월호참사 피해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저는 그간 무심히 넘겨왔던 한국 사회의 재난을 다시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1994년 10월 21일, 성수대교가 붕괴했을 때 전 고등학교 3학년이었습니다. 성수대교 붕괴 후 1년도 채 지나지 않은 1995년 6월 29일, 삼풍백화점 붕괴사고를 접했습니다. 동문회 선배들이 만들어준 술자리에서 소식을 들었는데, 일순 정적이 흐른 뒤 사람들 사이에 “정말이야?” “말도 안 돼”라는 말이 메아리쳤던 기억이 납니다.
어떻게 그런 일이 벌어질 수 있는 것인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비현실적 현실은 오랫동안 그저 ‘안전불감증’이나 몇몇 비도덕적 개인들의 일탈행위로 설명되었습니다.
저에게 세월호참사는 그러한 상투적 말들을 넘어 재난을 일으키는 우리 사회의 구조를 보다 깊고 넓게 인식하게 해준 사건입니다. 기업의 이윤추구만을 우선시한 정부의 규제완화와 노동유연화 정책이 우리의 안전을 어떻게 위협할 수 있는지, 긴급 대응과 구조가 필요한 시간에 제대로 기능하지 못한 국가의 무능이 어떤 참사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보게 했습니다
세월호참사 성역없는 진상규명!
4.16합창단과 함께하는 퇴근길 문화제 in 기억공간 - 두번째
○ 일시 : 2022년 7월 27일(수) 18:00
○ 장소 : 세월호 기억공간 (서울시의회 앞 마당)
○ 공연 : 성미산마을어린이합창단, 어쩌다 떠난 여행, 4.16합창단
세월호참사 3천일을 맞아
4.16세월호참가 작가기록단 박희정
세월호참사 피해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저는 그간 무심히 넘겨왔던 한국 사회의 재난을 다시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1994년 10월 21일, 성수대교가 붕괴했을 때 전 고등학교 3학년이었습니다. 성수대교 붕괴 후 1년도 채 지나지 않은 1995년 6월 29일, 삼풍백화점 붕괴사고를 접했습니다. 동문회 선배들이 만들어준 술자리에서 소식을 들었는데, 일순 정적이 흐른 뒤 사람들 사이에 “정말이야?” “말도 안 돼”라는 말이 메아리쳤던 기억이 납니다.
어떻게 그런 일이 벌어질 수 있는 것인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비현실적 현실은 오랫동안 그저 ‘안전불감증’이나 몇몇 비도덕적 개인들의 일탈행위로 설명되었습니다.
저에게 세월호참사는 그러한 상투적 말들을 넘어 재난을 일으키는 우리 사회의 구조를 보다 깊고 넓게 인식하게 해준 사건입니다. 기업의 이윤추구만을 우선시한 정부의 규제완화와 노동유연화 정책이 우리의 안전을 어떻게 위협할 수 있는지, 긴급 대응과 구조가 필요한 시간에 제대로 기능하지 못한 국가의 무능이 어떤 참사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보게 했습니다
이메일 : 416network@gmail.com
전화 : 02-2285-0416
팩스 : 02-722-0416
후원계좌 : 우리은행 1005-302-703452 (4월16일약속국민연대)
수신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