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 세월호 참사 집회에 대한 탄압을 중단하고 집회 참석자들을 석방하라
세계시민사회단체연합인 시비쿠스는 한국 정부가 지난 2014년 4월 16일 발생한 세월호 참사에 대해 투명하고 독립적인 조사를 촉구하는 시민사회 단체와 집회 참여자들을 지속적으로 탄압하는 것을 규탄한다. 세월호 참사 당시 대부분이 고등학생이었던 304명의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시비쿠스는 한국 정부에 집회에 참가했다는 이유로 구속된 모든 활동가들을 무조건적으로 즉각 석방할 것을 촉구한다.
“한국 정부는 평화로운 집회 시위자들에 대해 적대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 시민들의 정당한 우려에 답하는 대신 정부는 폭력적 방식으로 비판의 목소리를 잠재우려 하고 있다”고 세계시민사회단체연합 시비쿠스의 정책연구원인 토르 호덴필드는 말했다.
2015년 4월부터 수천명의 평화로운 시위대들은 대한민국 수도인 서울에서 세월호 참사 1년을 추모하는 집회를 개최했다. 세월호 유가족들과 이들을 지지하는 개인들, 그리고 800개가 넘는 한국 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4.16 연대가 주최한 이 집회는 한국 정부에게 세월호 참사의 근본적인 원인을 밝히고 많은 비판을 받고 있는 구조 작업에 대해 조사를 벌일 수 있는 독립적인 조사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요구하는 집회였다.
공권력은 평화로운 시위대를 향해 불균형하고 과도한 무력을 일상적으로 사용했다. 4월 16일, 18일 그리고 5월 1일 서울에서 열린 집회에서 경찰은 시위대를 해산하고 이들이 청와대 쪽으로 행진하는 것을 막기 위해 물대포와 최루액, 버스 차벽을 이용했다. 경찰이 무차별적으로 무력을 사용함에 따라 100명이 넘는 시민들이 부상을 입었다.
더 나아가 집회 도중에 경찰은 집회를 진압하기 위해 시민들을 부당하게 연행했다. 2015년 4월 18일에는 변호사, 기자, 종교인 그리고 세월호 유가족들을 포함해 최소 100명의 인권옹호자들이 연행되었다. 2015년 5월 1일에는 비슷한 상황에서 42명이 연행되었다.
이 집회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적어도 6명의 집회참가자 및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구속되어 있다. 오늘(6/4), 800개 이상의 한국 시민단체들이 참여하고 있는 세월호참사국민대책회의 활동가 김현식과 함형재에 대한 재판이 서울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들은 최근의 집회를 주도했다는 혐의를 비롯해 구체적이지도 않은 혐의를 이유로 기소되어 지난 4월 30일부터 구속되어 있다.
“평화적으로 집회할 권리는 모두가 인정하고 있는 민주주의의 권리다. 우리는 한국 정부에게 시민들의 권리를 침해하는 대신 이들이 권리를 누릴 수 있게 할 것을 촉구한다”고 토르 호덴필드는 덧붙였다.
시비쿠스는 한국 정부에게 평화로운 시위자들에 대한 근거없는 탄압을 중단하고 표현의 자유, 결사의 자유, 그리고 집회의 자유라는 적법한 권리를 행사했다는 이유로 구속된 모든 시위 참가자들과 인권옹호자들을 즉각 석방할 것을 촉구한다.
[PRESS RELEASES]
SOUTH KOREA: Release Protesters and End Crackdown on Sewol Ferry Demonstrations
3 June 2015 - Global civil society alliance, CIVICUS, condemns South Korea’s on-going persecution of civil society groups and protestors calling for transparent and independent investigations into the sinking of the Sewol Ferry on 16 April 2014 in which 304 people, mostly school students lost their lives. CIVICUS urges South Korean authorities to immediately and unconditionally release all activists currently detained for participating in the demonstration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exhibiting growing hostility towards peaceful protest movements in the country,” said Tor Hodenfield, Policy and Research Officer, from the global civil society alliance, CIVICUS. “Rather than responding to citizens’ legitimate concerns, the authorities are violently attempting to silence critical voices and groups.”
Since April 2015, tens of thousands of peaceful protestors have held extensive demonstrations across the capital, Seoul, commemorating the one-year anniversary of the Sewol Ferry disaster. The protests, organised by the Coalition 4.16 on the Sewol Ferry Disaster, an alliance of victims’ families, individual supporters, and more than 800 South Korean NGOs, have called on the government to establish an independent investigation committee to determine the underlying causes of the incident and the widely criticised rescue effort.
State security forces have routinely responded to the peaceful protests with disproportionate and excessive force. During protests in Seoul on 16 and 18 April and 1 May, police used water cannons, teargas and bus barricades to disperse and prevent demonstrators marching toward the President’s residence. Over 100 protestors reportedly sustained injuries due to the indiscriminate use of force by police.
Further, on a number of occasions during the protests, the police resorted to unwarranted mass arrests to quell the demonstrations. On 18 April 2015, at least 100 human rights defenders, including lawyers, journalists, religious leaders and victims’ family members were arrested. Days later on 1 May 2015, 42 people were arrested under similar circumstances.
At least six protestors and civil society activists remain in detention for participating in the demonstrations. On 4 June, the trial of two representatives of the People’s Committee for the Sewol Ferry tragedy, a coalition of more than 800 South Korean NGOs, Mr Hyun-sik Kim and Mr Hyung-jae Ham commenced in the capital. Mr Kim and Mr Ham, who have been detained since 30 April, are being held on unspecified charges and are accused of being the main organisers of the recent protests.
“The right to protest peacefully is a well-recognised democratic right. We urge South Korean authorities to enable not impede this right,” said Hodenfield.
CIVICUS urg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cease its unwarranted crackdown on peaceful protests and to immediately release all protestors and human rights defenders imprisoned for exercising their legitimate rights to freedom of expression, association and assembly.
|
세계시민사회단체연합(CIVICUS), 세월호 집회 참가자들에 대한 인권탄압에 우려 표명
"한국 정부는 시민들의 평화로운 집회 결사의 자유 보장하라"
"현재 구속 중인 집회 참가자들을 조건없이 즉각 석방하라"
세월호 집회 관련 구속자들의 첫 재판을 앞두고 어제(6/3) 세계시민사회단체연합 시비쿠스(CIVICUS World Alliance for Citizen Participation)는 지난 4월 있었던 세월호 집회에서 한국 정부가 집회 참가자들의 인권을 탄압한 것에 우려를 표명하며 해당 집회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구속 중인 6명을 즉각 석방할 것을 촉구하는 입장을 발표했습니다.
시비쿠스는 지난 4월 11일부터 5월 1일까지 개최된 일련의 세월호 집회에서 독립적인 조사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촉구하는 참가자들에게 경찰이 과도한 물리력을 사용했으며 이로 인해 100명이 넘는 연행자와 부상자가 발생한 것에 주목했습니다. 특히 세월호참사국민대책회의 소속 두 명의 활동가가 집회를 주도했다는 명목 아래 구속 중인 사실과 오늘(6/4) 이들에 대한 첫 재판이 열린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들을 포함한 모든 구속자들을 즉각 석방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1993년에 설립된 시비쿠스는 전 세계 160개국 시민단체 및 개인 회원으로 구성된 요하네스버그 소재 국제인권단체이며 전 세계 시민사회를 강화하는 활동을 지속해 왔습니다. 시비쿠스는 유엔 국가별인권상황정기검토 한국 심의 당시 한국의 의사표현의 자유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하는 등 한국 인권 상황에 지속적인 관심을 표명해왔습니다.
영문성명 바로가기 >> http://bit.ly/1IhjDf
한국 : 세월호 참사 집회에 대한 탄압을 중단하고 집회 참석자들을 석방하라
세계시민사회단체연합인 시비쿠스는 한국 정부가 지난 2014년 4월 16일 발생한 세월호 참사에 대해 투명하고 독립적인 조사를 촉구하는 시민사회 단체와 집회 참여자들을 지속적으로 탄압하는 것을 규탄한다. 세월호 참사 당시 대부분이 고등학생이었던 304명의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시비쿠스는 한국 정부에 집회에 참가했다는 이유로 구속된 모든 활동가들을 무조건적으로 즉각 석방할 것을 촉구한다.
“한국 정부는 평화로운 집회 시위자들에 대해 적대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 시민들의 정당한 우려에 답하는 대신 정부는 폭력적 방식으로 비판의 목소리를 잠재우려 하고 있다”고 세계시민사회단체연합 시비쿠스의 정책연구원인 토르 호덴필드는 말했다.
2015년 4월부터 수천명의 평화로운 시위대들은 대한민국 수도인 서울에서 세월호 참사 1년을 추모하는 집회를 개최했다. 세월호 유가족들과 이들을 지지하는 개인들, 그리고 800개가 넘는 한국 시민사회단체들로 구성된 4.16 연대가 주최한 이 집회는 한국 정부에게 세월호 참사의 근본적인 원인을 밝히고 많은 비판을 받고 있는 구조 작업에 대해 조사를 벌일 수 있는 독립적인 조사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요구하는 집회였다.
공권력은 평화로운 시위대를 향해 불균형하고 과도한 무력을 일상적으로 사용했다. 4월 16일, 18일 그리고 5월 1일 서울에서 열린 집회에서 경찰은 시위대를 해산하고 이들이 청와대 쪽으로 행진하는 것을 막기 위해 물대포와 최루액, 버스 차벽을 이용했다. 경찰이 무차별적으로 무력을 사용함에 따라 100명이 넘는 시민들이 부상을 입었다.
더 나아가 집회 도중에 경찰은 집회를 진압하기 위해 시민들을 부당하게 연행했다. 2015년 4월 18일에는 변호사, 기자, 종교인 그리고 세월호 유가족들을 포함해 최소 100명의 인권옹호자들이 연행되었다. 2015년 5월 1일에는 비슷한 상황에서 42명이 연행되었다.
이 집회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적어도 6명의 집회참가자 및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구속되어 있다. 오늘(6/4), 800개 이상의 한국 시민단체들이 참여하고 있는 세월호참사국민대책회의 활동가 김현식과 함형재에 대한 재판이 서울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들은 최근의 집회를 주도했다는 혐의를 비롯해 구체적이지도 않은 혐의를 이유로 기소되어 지난 4월 30일부터 구속되어 있다.
“평화적으로 집회할 권리는 모두가 인정하고 있는 민주주의의 권리다. 우리는 한국 정부에게 시민들의 권리를 침해하는 대신 이들이 권리를 누릴 수 있게 할 것을 촉구한다”고 토르 호덴필드는 덧붙였다.
시비쿠스는 한국 정부에게 평화로운 시위자들에 대한 근거없는 탄압을 중단하고 표현의 자유, 결사의 자유, 그리고 집회의 자유라는 적법한 권리를 행사했다는 이유로 구속된 모든 시위 참가자들과 인권옹호자들을 즉각 석방할 것을 촉구한다.
[PRESS RELEASES]
SOUTH KOREA: Release Protesters and End Crackdown on Sewol Ferry Demonstrations
3 June 2015 - Global civil society alliance, CIVICUS, condemns South Korea’s on-going persecution of civil society groups and protestors calling for transparent and independent investigations into the sinking of the Sewol Ferry on 16 April 2014 in which 304 people, mostly school students lost their lives. CIVICUS urges South Korean authorities to immediately and unconditionally release all activists currently detained for participating in the demonstration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exhibiting growing hostility towards peaceful protest movements in the country,” said Tor Hodenfield, Policy and Research Officer, from the global civil society alliance, CIVICUS. “Rather than responding to citizens’ legitimate concerns, the authorities are violently attempting to silence critical voices and groups.”
Since April 2015, tens of thousands of peaceful protestors have held extensive demonstrations across the capital, Seoul, commemorating the one-year anniversary of the Sewol Ferry disaster. The protests, organised by the Coalition 4.16 on the Sewol Ferry Disaster, an alliance of victims’ families, individual supporters, and more than 800 South Korean NGOs, have called on the government to establish an independent investigation committee to determine the underlying causes of the incident and the widely criticised rescue effort.
State security forces have routinely responded to the peaceful protests with disproportionate and excessive force. During protests in Seoul on 16 and 18 April and 1 May, police used water cannons, teargas and bus barricades to disperse and prevent demonstrators marching toward the President’s residence. Over 100 protestors reportedly sustained injuries due to the indiscriminate use of force by police.
Further, on a number of occasions during the protests, the police resorted to unwarranted mass arrests to quell the demonstrations. On 18 April 2015, at least 100 human rights defenders, including lawyers, journalists, religious leaders and victims’ family members were arrested. Days later on 1 May 2015, 42 people were arrested under similar circumstances.
At least six protestors and civil society activists remain in detention for participating in the demonstrations. On 4 June, the trial of two representatives of the People’s Committee for the Sewol Ferry tragedy, a coalition of more than 800 South Korean NGOs, Mr Hyun-sik Kim and Mr Hyung-jae Ham commenced in the capital. Mr Kim and Mr Ham, who have been detained since 30 April, are being held on unspecified charges and are accused of being the main organisers of the recent protests.
“The right to protest peacefully is a well-recognised democratic right. We urge South Korean authorities to enable not impede this right,” said Hodenfield.
CIVICUS urg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cease its unwarranted crackdown on peaceful protests and to immediately release all protestors and human rights defenders imprisoned for exercising their legitimate rights to freedom of expression, association and assembly.